자폐증의 해독치료 (자폐증 극복을 위한 생의학적 치료)
지은이 : 줄리 A. 버클리 /서경란 옮김
발행처 : 시그마프레스
펴낸날 : 2016년 4월 15일
목차
제1부 자폐증의 새로운 개념
자폐증이란 어떤 질환인가
제2부 자폐증의 해독치료 과정
첫 번째 치료 : 자폐증 회복의 열쇠
두 번째 치료 : 엄마, 제 몸 안에 벼룩이 있어요
세 번째 치료 : 해독제의 제왕 글루타치온
네 번째 치료 : 우리가 숨 쉬는 공기
다섯 번째 치료 : 이제 킬레이션을 시작해도 될까요
여섯 번째 치료 : 정말 우리 아이에게 해줄 수 있는 모든 걸 했나요
밑줄 쫙
자폐증은 내과 질환입니다. 정신장애처럼 '보일'뿐이지요.
자폐증은 체내에서 잘못된 생물학적.화학적 악순환으로 생긴 병입니다.
기능의학(Functional Medicine)에서는 병을 불균형 상태라고 정의한다. 호르몬, 신경전달물질, 에너지, 미토콘드리아, 해독, 면역, 소화와 흡수, 신체구조, 심리적. 영적 불균형이 병을 만든다고 본다. 그럼 치료는 이런 불균형을 바로잡아 균형을 찾아주면 병든 몸이 건강해진다는 것이다. (역사 서문 7)
자폐증의 새로운 정의
자폐증에 관한 기존의 정의는 의사소통, 사회성, 행동의 세 가지 영역에 중복되는 결함을 보이는 경우를 말합니다. 생의학치료를 하는 임상의들은 이 세가지 영역의 결함이란 결국 한 가지 질병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증상이라고 생각합니다. 이 증상들은 우리 눈에 보이는 것에 불과할 뿐입니다. (37)
다행히 자폐증의 원인과 치료법에 대한 연구를 의학의 여러 분야에서 진행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그들은 모두 만성염증, 산화스트레스, 독성이라는 3대 요인이 상호작용하여 질병을 일으킨다는 것을 연구에서 밝혀내고 있습니다. (39)
자폐증은 신체의 면역체계, 소화체계, 황 대사, 해독체계가 필요로 하는 물질을 만들거나 공급할 능력이 없는 상태입니다. 세포 내 생화학 회로의 기능장애가 자폐아들이 이상한 행동을 하는 원인입니다. (40)
3대 요인 ; 만성염증, 산화 스트레스, 독성
만성염증
염증(inflammation)과 감염(infection)은 완전히 다릅니다. 감염은 박테리아나 바이러스와 같은 병원균에 의해 생기게 됩니다. 그러나 염증은 감염이 되었거나, 가시에 찔렸거나, 뼈가 부러지거나, 접질렸거나, 멍이 들었을 때 나타나는 신체반응으로 우리 몸이 혈장이나 백혈구를 상처 부위에 보내서 치유하는 과정입니다.
자폐아들이 가지고 있는 염증은 만성염증(chronic inflammation)으로 염증이 오래 지속된 경우입니다. 만성염증은 더 이상 기능적인 역할을 하지 못하고, 오히려 역기능(dysfunction)을 하게 됩니다. 오랫동안 상처가 계속되면 세포 구조가 변해 다른 세포로부터 오는 신호에 정상적인 반응을 못합니다. (40-41)
산화 스트레스
산화 스트레스(Oxidative Stress)는 세포에서 활성산소를 생산하는 양과 모에서 활성산소를 제거하는 양 사이에 불균형이 있을 때 발생합니다.
세포 안에는 활성산소(Reactive Oxygen Spress, ROS)에 대항하는 자연적인 방어 시스템이 있습니다. 활성산소는 텔레비전에서 항노화 화장품 광고나 건강 관련 뉴스에 자주 등장하는 산소이온, 과산화물, 그리고 불안정한 전자와 같은 유리기(free rsdical)들을 말합니다. 활성산소는 세포 내 정보전달을 가능하게 하고, 면역체계에 낯선 병원체가 들어왔다는 신호를 주어 면역세포들이 동원되어 병원체들을 공격하고 죽일 수 있게 합니다.
산화 스트레스는 몸에서 생산되는 활성산소를 제대로 처리하지 못하는 것을 말합니다. 활성산소의 생산량은 많은데 활성산소를 제거하는 능력이 떨어져 있을 때 산화 스트레스가 생깁니다. 활성산소의 생산과 제거의 불균형은 파킨슨병과 알츠하이머병, 그리고 자폐증 등 많은 질환의 발병요인이 됩니다. 활성산소는 '세포발전소'라고 불리는 미토콘드리아와 단백질이나 DNA 등 세포 내 구성요소들을 파괴합니다. 활성산소가 많아지면 세포구조에 손상을 주기 시작하고, 그 양이 더 많아지면 세포를 파괴하고 죽게까지 합니다.
활성산소 과잉에 대한 가장 효과적인 항산화제는 글루타치온(Glutathione)입니다. (42)
독성
독성(toxicity)은 두 가지 의미가 있는데, 두 가지 모두 자폐증에 있어 독성의 역할을 이해하는데 중요합니다. '독성'의 첫 번째 의미는, 독성을 띠는 상태나 성질이란 뜻입니다. (42)
잔류성 유기오염물질
유엔환경계획(United National Environment, UNEP)은 잔류성 유기오염물질(Persistent Organic Pollutants, POPs)을 "환경 내에 지속적으로 잔존하고, 먹이사슬을 통해 생물에게 농축되며, 사람의 건강과 환경에 악영향을 끼치는 화학물질"이라고 정의합니다. 잔류성 유기오염물질에는 음식첨가물로 허용된 3,000종류의 화학물질도 포함됩니다. 식용작품과 비식용작품에 뿌려지는 연간 약 5억 4,400만 kg에 달하는 살충제도 잔류성 오염물질입니다. 살충제 성분은 쉽게 분해되지 않고, 토양에 계속 남아 이 토양에서 자란 채소에 스며들고 이 채소를 먹은 사람들에게 잔존해 몇 세대에 걸쳐 사라지지 않기 때문입니다.
세제성분도 잔류성 유기오염물질입니다.
변기용 세제나 오븐 클리너나 광택제도 양이 많아지면 건장한 성인도 죽을 수 있는 독성을 지닌 화학성분입니다. (44)
납, 비소, 카드뮬, 탈륨, 수은 등 물보다 최소 5배 이상 밀도가 높은, 중금속 성분 역시 잔류성 유기오염물질입니다. 중금속은 음식, 물, 공기, 피부 흡수 등의 다양한 경로를 통해 몸에 들어옵니다. 일단 몸에 들어오면 지방층 안에 쌓여 칼슘이나 아연과 같은 필수 미네랄의 자리를 빼앗고 그 자리를 대신 차지해 정상적인 장기기능을 방해하기 시작합니다. (45)
잔류성 유기오염물질에는 수은뿐만 아니라 유리기들도 포함됩니다. 유리기는 세포 내의 불안정한 전자들로 세포구조를 파괴하고, 산화 스트레스를 유발하는 성분인데, 유리기는 정상적인 산소대사를 통해 절대로 생기지 않습니다. 유리기들은 담배 연기나 화력발전소 배출물, 알코올, 방사선에서 나오는 독소와 식품첨가물이나 살충제에서 만들어집니다. 우리가 받는 온갖 스트레스도 유리기를 만들어 내지요. (47)
완전식품에다 비타민과 미네랄 성분을 보충한 식단은 아주 건강한 사람도 필요합니다. 식단관리와 영양보충제가 누구에게나 필요한 이유는 모든 사람이 잔류성 유기오염물질의 영향을 받고 있기 때문입니다. (47)
먹거리를 통한 수은 오염은 매우 직접적인 영향을 줍니다. 액상과당의 제조 과정에 사용되는 가성소다가 원인이었습니다. 가성소다를 만들 때 수은이 사용된다고 합니다. (50)
어떤 독소가 자폐증의 원인이라는 확실한 증거는 없다는 주장을 듣게 될 때를 대비해 이 말을 꼭 기억해 주세요. 자폐증은 오랫동안 무수한 종류의 독소에 노출되어 왔고 그 독소가 쌓여서 생긴 결과입니다. (50)
항생제가 나쁜 박테리아를 죽일 때, 프로바이오틱스(Probiotics, 건강에 도움을 주는 유익한 미생물)라고 부르는 유익균들도 같이 죽게 됩니다. 장 안의 유익균 수가 감소하면, 정상적인 장에서 서식하지 말아야 할 박테리아들이 증가해 '장내 세균 불균형'현상이 일어나게 됩니다. 항생제 사용으로 생긴 나쁜 박테리아들은 내독소(endotoxins)를 만들어 냅니다. 내독소란, 몇몇 박테리아의 세포벽에 존재하는 것으로 박테리아들이 죽은 후에 배출되는 독소입니다. 내독소는 발열, 오한, 쇼크, 모세혈관과 장내막의 투과성 증가(leakage, 누수현상)를 초래합니다. 몸 안에 내독소가 오래 머물게 되면, 장내에서 과도한 발효를 일으켜 더 많은 양의 다양한 독소를 만들어 내며, 더 심해지면 장내막에 많은 구멍이 생겨 새는 장증후군(Leaky Gut Syndrome)이 생길 수도 있습니다. 이 상태가 더욱 악화되면 소화기관의 기능이 떨어져 특정 음식에 대한 민감성이 생길 수 있으며, 면역체계가 약화되고, 독소를 해독하고 배출하는 간기능도 망가질 수 있습니다. (51)
영양실조와 자폐증
슈파마켓에서 쉽게 살 수 있는 대부분의 음식은 영양가가 전혀 없습니다. 생명유지에 필수적인 영양소가 너무 많이 제거되어 '정크푸드(불량식품)'라고 부릅니다. (52)
필수 비타민과 필수 미네랄, 식이섬유가 까여져 나간 음식을 변질된 음식이라고 부릅니다. 먹거리는 다양한 공정을 거칠수록 불량식품이 됩니다.
아이들이 아침으로 먹거나 점심 도시락으로 가장 많이 먹는 런천미트, 시리얼, 빵과 같은 가공식품을 먼저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식품 제조업자들은 아이들의 입맛에 맞추기 위해 밀에서 겨나 섬유질을 빼는 등 원재료의 건강한 영양소를 제거합니다. 또 방부제를 첨가하고, 식용유의 천연성분을 인위적으로 조작하고, 유통기한을 늘려 바쁜 부모들을 위해 편리한 제품을 만들지요.
건강한 식품이란 바로 유기농법을 통해 거주지역 근처에서 생산된, 가공하지 않은 식품을 말합니다. 저는 비싼 음식을 먹어야 한다고 말하는게 아닙니다. 우리가 일상적으로 먹는 사과, 당근, 시금치와 같은 식품에 대한 이야기를 하는 것입니다.
이 모순의 가장 큰 원인은 산업화된 거대한 농장들이 음식 공급을 좌지우지하기 때문입니다. 사람들의 건강보다 기업이윤이 더 중요하기 때문에 목숨을 위협하는 독한 살충제를 사람이 먹는 농작물에 뿌려, 지금 우리가 먹는음식은 예전에 우리 부모가 먹던 음식보다 영양소가 훨씬 부족한 상태로 생산됩니다. (53)
1950년에는 100g의 시금치에 150mg의 비타민 C가 들어있었고, 1963년에는 같은 양의 시금치에 100mg이 들어 있었습니다 1982년에는 같은 양의 시금치에는 63mg의 비타민C가 있었고, 1994년에는 13mg밖에 들어 있지 않습니다.(54)
심장질환, 알츠하이머 치매, 자폐증...어떤 병이든 자세히 살펴보십시오. 이 모든 질환은 인체가 건강을 유지하고, 질병을 이겨내기 위해 필요한 충분한 영양소를 공급받지 못하기 때문에 악화되는병입니다. 이 변질된 음식들은 증가 일로에 있는 비만과도 깊은 관련이 있습니다.
우리는 우리 부모님이나 조부모님이 한끼 식사에서 먹던 시금치보다 5배는 많이 먹어야 같은 양의 영양분을 섭취할 수 있습니다. 우리 몸은 제때 필요한 비타민과 미네랄을 공급받지 못하면 생존유지를 위한 영양분을 더 섭취하기 위해 더 많은 음식을 요구합니다. 우리 몸은 건강을 유지하기 위해 더 많은 양의 영양분을 원하고 있습니다. (54)
유전적인 요인
독성이라는 단어의 두번째 의미는 독소의 양에 따라 독성이 달라지는 용량 의존성(dose dependency)입니다.
독소도 양이 많아져야 독이 된다는 것입니다. 자폐증이 발병할지 아닐지는 아이가 유해한 환경에 '얼마나'노출되어 있었는가에 달려 있습니다. 또 아이가 얼마나 영양소를 잘 섭취하고 있는지, 환경 독소들에 대해 얼마나 효율적으로 싸울 수있는지도 중요한 조건이 될것입니다.
1. 아이의 자폐증상이 발견되자마자 가능한 한 빨리 치료를 시작해야만 치료가 쉬워지고 회복도 더 빨라집니다.
2. 큰 아이들의 경우 치료강도가 더 강하고, 치료기간도 길어지지만, 이 아이들 역시 나아질 수 있습니다. 아이에 따라 부분적인 회복만 가능한 경우도 있습니다.
3. 자폐아의 생의학적 치료를 통한 회복과정은 명확한 단계가 있어 순서대로 진행된다는 것입니다.
킬레이션 요법을 바로 시작하지 않으면 실망합니다. 이렇게 기다리게 하는데는 다 이유가 있습니다.
성공적으로 독소를 제거하기 위해 먼저 아이의 몸을 강하게 만들어 해기 때문입니다.
(66-67)
우리는 아이의 몸이 스스로 해독할 수 있도록 도울 것입니다. 만성 염증을 줄이기 위해 다양한 항염물질을 처방해 손상에서 회복하도록 할것입니다. 또 세포들의 구조적인 손상을 막기 위해 항산화제를 보충해 줄것입니다. (70)
자폐스펙트럼 장애의 치료에서 영양의 역할
1. 위장관은 각종 박테로아, 바이러스, 제노바이오틱스(xenobiotics)와 같은 것에 대항해 우리 몸을 보호하는 역할을 합니다. 제노바이오틱스란 우리 몸안에 이물질로 작용하는 모든 화학물질을 말합니다.
2. 면역시스템의 무려 70% 가 장벽 가까이 있고 면역력과 장은 밀접한 관계가 있다는 아무리 반복해도 지나치지 않을만큼 중요합니다.
3. 장에서 처리된 비타민과 미네랄은 우리 몸의 효소작용과 대사과정에 중요한 조효소로 작용합니다.
4. 영양소는 신경전달물질을 만드는 원료입니다.
5. 세로토닌은 뇌가 의사소통할때 사용하는 신경전달물질의 일종으로 세로토닌의 90%는 소화기관에서 만들어집니다.
(70-71)
GFCF 식이요법
위장관 문제가 자폐증의 핵심문제라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장을 온전하게 만드는 일이 회복의 첫걸음이며, 건강한 소화기관이야만로 건강의 기초라는 것도 알게 되었습니다. 그런데 왜 유독 카세인과 글루텐을 조심하라고 강조하는 것일까요?
자폐아들은 글루텐과 카세인이 분해될때 만들어지는 펩티드(peptides)를 더 잘게 자를 데 어려움이 있기 때문입니다. (75)
펩티드 https://the-blessed.tistory.com/10
새는 장 증후군
장투과성 증가(Increased Intestinal Permeability)라고 하는 새는장 증후군(Leaky Gut Syndrome)은 자폐증에서 자주 보이는 신체 문제이며, 새는 장 증후군이 있는 자폐아의 치료는 더 어려워집니다.
제대로 소화된 음식들이 장을 지나 혈관으로 들어오는 세가지입니다. 두 가지 방법은 장점막세포를 통과해 확산되거나 능동수송되는것인데, 자폐아도 이 두가지 경로에는 별 문제가 없습니다. 그러나 데스모좀(desmosome)을 통한 세번째 경로는 사정이 다릅니다.
데스모좀은 장내막 세포와 세포 사이의 공간에 있는 이곳은 빈틈없이 밀봉되어 있습니다. 그런데 만성염증으로 장내막이 망가지면 밀봉되었던 이곳에 틈이 생겨 소화되지 않은 큰 입자들이 장벽을 통과해 혈관속으로 들어가게 됩니다.
우리 몸은 혈관 속으로 들어온 이 큰 입자들을 이물질로 인식합니다. 이물질이 들어오면 몸의 면역체계는 비상사태에 돌입하게 되고 이물질을 공격하고 죽여서 제거하려고 합니다. 면역체계가 오랫동안 공격상태로 있을수록, 장의 손상도 커지고 장벽에 더 큰 구멍을 만들게 됩니다. 결과적으로 나쁜 펩티드뿐만 아니라 소화가 안된 음식입자들과 독소들도 손상된 세포를 통과해 혈류안으로 들어오게 되는 것입니다.
GFCF식이요법의 목적은 아이의 몸 안에 있는 불처객인 펩티드를 제거하고, 영양이 풍부한 식사를 제공해 새는 장을 치유하는 것입니다.
3R 프로그램
제거하기(Remove), 보충하기(Replenish), 회복하기(Repair & Restore)
제거하기
글루텐과 카세인을 포함해 건강에 문제를 일으키는 음식들은 모두 식단에서 빼십시오.
보충하기
- 프로바이오틱스 보충
- 효소보충
- 비타민, 미네랄, 오메가3, 지방산, 기타
회복하기
아이들이 먹지 못하건, 흡수하지 못하거나, 이용하지 못하는 많은 체내 구성성분을 보충해 주어야 합니다.
아이들이 건강을 위해서 모든 형태의 당분, 즉 자당, 과당, 젖당, 엿당, 포도당, 만니톨, 소르비톨, 또는 메이플 시럽이나 당밀의 섭취량을 과감하게 줄여야 합니다. 포장식품이나 가공식품을 살때 당분이 있는지 성분표를 자세히 살펴봐야 합니다. 조심해야 할 음식은 달콤한 시리얼이나 간식만이 아닙니다. 구운콩, 대부분의 조미료, 피클, 핫도그, 베이컨 등도 최소 한가지 이상의 당류가 들어있는 음식입니다.
요리에 설탕이 꼭 필요하다면 가공된 설탕이 아닌 꿀이나 아가베시럽, 라피듀라 설탕과 같은 천연감미료를 사용해햐 합니다. 스테비아나 자일리톨로 괜찮은데, 자일리톨은 이를 튼튼하게 해주는 이점이 있습니다. (100)
황산화반응
자페증의 생화학을 연구하는 선두 연구자 중 한명인 로즈메리 워링(Rosemary Waring)은 자폐스펙트럼 장애를 앓는 아이 중 73~92%가 황산화반응(sulfation, 하나의 황에 두개의 산소가 결합하고 있는 설프히드릴기O₂SX₂를 다른 분자에 결합시키는 과정)에 손상이 있어 혈장에 황산염 수치가 낮다는 결과를 보여주는 다수의 연구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화학적으로 설명하면 자폐아는 황이 부족하기 때문에, 거의 모든 식품에 들어있는 페놀을 처리하기 어렵다는 말입니다.
페놀을 식단에서 완전히 빼는 대신 아이들이 먹은 페놀을 잘 처리할 수 있도록 도아주면 될 것입니다. (136-137)
글루타치온
글루타치온을 구성하는 황은 수은, 납, 카드륨, 비소, 주석, 니켈 그리고 다른 중금속과 결합해 중금속을 몸 밖으로 빼냅니다. 글루타치온은 중금속의 분자를 붙잡고 포위해서 소변과 대변을 통해 몸밖으로 배출합니다. (147)
산소는 건강한 세포의 구성과 기능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조직, 근육, 뼈를 건강하게 성장(growing), 감염을 방어(depending)하고, 염증과 신체손상을 회복(repairing)하는 등 세포기능을 제대로 수행하는 역할을 합니다. (163)
킬레이션요법은 중금속과 결합해 조직에서 중금속을 빼내어 혈류로 보낸 다음, 간이나 신장을 통해 몸 밖으로 배출해 내는 물질을 체내에 투입하는 것입니다. (174)
수은 중독과 관련된 정신 증상은 사회성 결여, 수줍음, 사회적 위축, 우울감, 감정기복, 무표정, 정신분열적 경향, 손상된 얼굴 인식능력 등이 있습니다.
수은 중독 시 언어와 관련된 증상에는 언어능력 저하, 언어능력 상실, 언어발달장애, 조음장애, 소리에 대한 민감성, 청력저하(수은 중독이 심하면 청력 상실도 올수 있음), 낮은 언어성 지능 등이 있습니다.
수은 중독으로 인간 감각이상에는 갑자기 팔을 펄럭이거나, 발목을 꺽거나, 빙빙 돌거나, 몸을 앞뒤로 흔드는 등의 불수의적이고 발작적인 움직임이 포함됩니다. (178)
책을 읽고
15년간 자폐아동을 치료한 저자의 경험을 오롯이 읽을 수 있어서 좋았다.
희망이 느껴졌다~
비단 자폐증이 아니더라도 요즘 점점 많은 아이들이 주의집중이 어렵고 행동조절이 안되는 것을 보게된다. 이런 아이들에게도 꼭 적용해보고 싶은 방법이다.
건강을 회복하기 위한 방법은 기본적으로 통한다는 것을 다시한번 확인하게 되었다.
'배낭여행자의 노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칠월, 능소화가 피고 지겠지 (0) | 2023.07.27 |
---|---|
📖자폐증 회복 :생의학적 치료의 부모 매뉴얼 (0) | 2023.07.26 |
📖사람을 남기는 관계의 비밀 (0) | 2023.07.17 |
📖 아이의 미래를 망치는 엄마의 상식 (0) | 2023.06.27 |
📖여자를 위한 사장 수업 (0) | 2023.06.24 |